반응형 신성철19 욕 먹을 이야기, 집 지금 사? (신성철님. 22/6/15) 신성철님 06.15 욕 먹을 이야기좀 해볼까? 예전에 어렵게 주택 한채 매입을 고민하시는 분들에게 이런 돌 맞을 말씀을 드린적이 있다. 여러분들은 투자자분들에 비해서 욕심이 너무 많다. 그렇게 욕심이 많으니 제대로 된 판단이 서지 않는 것이다. 안다. 돌 맞을 이야기다. 적폐와 탐욕의 상징인 투자자보다 집 한채 어렵게 마련하시는 분들이 욕심이 너무 많다니 이 무슨 망언인가? 그런데 한번 잘 생각해보자. 제대로 된 투자자 분들은 투자를 하실때 당연히 손해를 볼 수 있다는 것을 각오한다. 상대를 먹으려고 하면서 먹힐 가능성을 생각하지 않는건 좀 오만하지 않은가? 어렵게 집한채 마련하시는 분들, 그 돈이 소중하다는 것 십분 이해한다. 하지만 너무 소중한 돈이기에 절대 손해가 나면 안되며 어렵게 모은 자본금이기.. 2022. 6. 15. 신성철님 부동산 전망 및 분석 전문 (22/4/6) 2022년 중반부에 금리인상이 시작되지만 연말로 가면 더이상의 금리인상이 어려울 것이라 생각한 이유는 한단어로 말하자면 중립금리 때문이다. 사실 내가 중립금리라는 단어를 안것은 불과 몇년전인데, 처음 들었을때 그 단어가 무슨 의미인지 바로 알수가 있었다. 부동산 시장에서 꽤 오랫동안 붙잡고 있었던 개념이었기 때문이다. 물론 내 마음대로의 해석이지만 말이다. 부동산에도 중립금리라는 개념이 있는데 이는 시장의 수익률과 상관이 있지만 꼭 수익률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일종의 시장체력이나 감당 가능한 에너지수준이라고 생각을 하면 비슷할듯 하다. 하여간, 중립금리 수준이 낮은 상태에서 금리의 인상은 한계를 지닌다. 중립금리는 비용과 관련이 있기에 비용이 수익률을 넘어서게 되면 결국 수익률은 중립금리에 수렴을 하여서.. 2022. 4. 7. 신성철님 부동산 강의 최신 요약 계속 비슷한 주제의 말을 하게 되는데, 나는 이번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패의 이유는 원칙 큰그림 명분을 잃은 것이라 생각한다. 부동산에서 정부의 역할은 무엇일까? 를 정말로 진지하게 고민해 봤을까? 부동산에는 3주체가 있다. 정부/공급(건설사)/수요 이중 정부가 해야할 일은 무엇일까? 가격? 아니다, 그것은 본질적으로 공급과 수요에서 결정되는 것이다. 그럼 정부 역할의 본질은 무엇일까? 양호한 주택의 충분한 공급을 통한 주거의 안정이다. 그리고 이 양호한 주택의 충분한 공급이 진행되면 가격은 공급과 수요의 사이에서 저절로 안정을 찾는다. 그럼에도 공급이 수요를 못 따라가면, 정부는 규칙을 만든다. 정부가 통치하는 방법은 본질적으로 직접 집을 짓는것이 아니라 규칙을 만들고 룰러가 되며 통치한다. 사업성이 .. 2022. 4. 2.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