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성철19 부동산 금리 상관관계 (신성철님) 원래는 부동산에서 금리는 두개를 본다. 하나는 대출금리가 기대수익률보다 높은가? 둘째는 대출금리가 임대수익률보다 높은가? 전에 글을 쓰면서 이건 설명을 패스한다고 했는데, 이제 슬슬 한번 해드릴 시간이 된듯하다. 최근에 전세를 기준으로 수익과 비용 전환율과 대출금리중 누가 높은가를 본다고 말을했는데, 이건 사실 이번에 처음생긴것이다. 당연한게 예전에는 전세자금대출이 없었으니까, 전세를 기준으로 대출금리와 수익률을 볼 필요가 없었다. 전세에 대출을 안해줬으니 금리를 볼 필요가 없는거지. 그래서 전세자금대출이 없던 시절에는, 금리가 급상승이 발생해도 전세가격은 오히려 오른 지역도 있었다. 전세자금대출이 없었으니까. 전세자금대출이 일반화가 된게 2012년이고 그 이후로 금리 급상승이 발생한게 이번이 처음이다... 2024. 1. 6. 신성철님의 시장 인사이트 fomc 분석 신성철님의 시장 인사이트 fomc 분석 fomc가 끝났다. 0.25 인상은 알고 있던 것이고 중요한 것은 기자 간담회에서 나왔는데 몇가지만 적어두겠다. 1. 이번 fomc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단 하나. "데이타에 의해 금리를 결정하겠다" 라는 말이었다. 데이타를 보고 금리 고점을 낮게 보거나 금리인하 시점을 빨리 보는 시장의 입장에서는, 연준이 데이타를 보고 위아래의 방향을 결정하겠다, 라는 말이 가장 중요했다. 파월이 이걸 해줬고 시장은 환호했다. 그럼 이제 데이타만 보면 되는데 현재 데이타는 9부능선을 가르키고 있다. 2. 시장이 파월의 말을 무시해서 파월의 권위가 떨어진다거나 파월이 기분이 나쁠것이라는 말은 이해가 어렵다. 생각해봐라, 40년만의 공급발 인플레이션으로 역대 최고속도로 금리가 올라가.. 2023. 2. 3. 지금의 변동성이 끝난 후의 시장 서브프라임 비교(신성철) 지금의 변동성이 끝난 후의 시장 서브프라임 비교(신성철) 지금 시기가 과거의 어느때와 비슷하냐 물으시면 서브프라임 시기가 아닌가 싶음 서브프라임때는 유동성장의 끝이라 전세가율 평균이 40%였음(전세가격이 굉장히 낮았음) 이런 시기에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과 은행의 붕괴, 급격한 금리인상이 발생하면서 굉장히 심각했음 전세가율이 낮았기에 하락 가능폭도 컸음 지금의 전세가율은 높은데 그때와 다른건 대출이 꼈기때문에 서브프라임때보다 금리에 더 취약함 전월세전환율이 5% 넘는 지역은 전세가 하락이 지금 안나오고 있음 전세가가 견고한건 과거보다 떨어지는데 전세가율이 상당히 높음 경기도 전월세 전환율이 4.7이니까 밀릴 수 있는 폭이 훨씬 적고 속도도 늦을 것이라 예상함 (지금 대출금리(5.1)랑 전환율 차이가 0.4.. 2022. 9. 18. 이전 1 2 3 4 ···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