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코인 인사이트

딥시크 뜻 주가 코인 AI 엔비디아 정체 중국 AI 혁신스타트업

by 김박씨 2025. 1. 30.
반응형


2025년 1월 27일(이하 미 동부시간) 뉴욕 금융시장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가 3% 폭락했어요. 연초부터 미증시 상승 기대감에 상승을 보였지만, 큰폭락을 보여줬습니다. 그 이유는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의 AI챗봇 성능이 미국 빅테크의 것에 필적한다는 평가가 나오면서입니다. 심지어 딥시크의 AI챗봇은 보급품인 엔비디아의 H800 제품을 활용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빅테크의 가치를 제고했습니다. 특히 AI 테마를 선도해온 엔비디아는 17% 폭락했고, 시가총액은 하루 만에 6천억달러(약 862조원) 가량 증발했습니다.

1. 딥시크는 어떤 회사인가?

중국의 혁신적인 AI 스타트업 기업입니다. 딥시크는 2023년에 설립된 중국의 신생 AI 스타트업으로,  AI 모델 개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딥시크가 최근 발표한 추론 특화 모델 ‘R1’은 미국의 오픈AI, 메타 등 주요 AI 기업들과 견줄 만큼 뛰어난 성능을 자랑합니다. 특히, 딥시크는 미국의 견제로 인해 첨단 하드웨어 없이 저비용으로 고성능 AI를 구현하며 세계적인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2. 저비용 고효율, AI 개발의 새 기준 제시

효율성 중심의 혁신 기업인 딥시크는 미국의 첨단 반도체 수출 규제로 인해 낮은 사양의 GPU를 사용했습니다. 딥시크는 가성비가 떨어진 기기를 시간당 2달러에 대여해 단 2개월 만에 R1 모델을 학습시켰습니다. 이처럼 딥시크의 성공은 제한된 자원 속에서도 효율적인 AI 개발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하며, 전 세계 AI 업계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습니다. 전문가들은 “H800처럼 성능이 제한된 칩으로도 딥시크가 이 정도의 결과를 냈다면, 만약 엔비디아의 고사양 칩(H100)을 사용했다면 훨씬 더 강력한 AI 모델이 탄생했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어요. 이는 딥시크의 효율성뿐만 아니라, 미래의 잠재적 성능에 대한 기대감을 더욱 높이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3. 미국 기술 기업들이 긴장하는 이유

실리콘밸리의 유명 투자자는 딥시크를 두고 “AI 업계의 스푸트니크 모먼트”라고 평가했습니다. 이는 딥시크의 등장으로 미국이 기술력 우위에 있지 않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게 되었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스푸트니크는 미국 보다 먼저 쏘아올린 러시아 로케트인데, 러시아의 과학 기술의 진보가 미국을 앞질러서 아주 큰 충격을 준 사건입니다. 또한, 딥시크는 기존의 고비용 구조를 통해 AI를 개발해 온 미국 기업들에게 비효율성을 재고할 필요성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4. 미국 증시와 암호화폐의 하락

딥시크의 급부상은 AI 시장에 국한되지 않고, 금융 시장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나스닥100 선물은 2.45% 하락하며 기술주 전반이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엔비디아 주가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딥시크가 지목되고 있으며, AI 기술 혁신으로 인한 경쟁 심화가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 시장도 급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5. 딥시크의딥시 미래와 글로벌 AI 경쟁

딥시크의 성공은 효율성과 혁신을 바탕으로, 글로벌 AI 시장에 중요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현재의 성과를 기반으로, 향후 고사양 하드웨어와 결합할 경우 딥시크가 더욱 강력한 모델을 개발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미국과 중국의 AI 패권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보이며, 딥시크의 등장은 미국과 중국 간 AI 기술 경쟁을 한층 더 가속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앞으로 AI와 관련하여 딥시크, 엔비디아 등 어떤 기업이 최종 승리하여 이 시장에서 살아남을 지 금융시장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